2012년 2월 26일 일요일

10-4. 베버: 카리스마적 지배

1. 베버의 카리스마 이론

베버의 카리스마 이론은 가장 재미있는 이론 중에 하나이다. 아마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다음으로 재미있을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카리스마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대하여도 항상 이야기한다. 베버를 읽지 않은 사람조차도 프로테스탄트 윤리라는 용어나 카리스마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 용어들은 모두 베버가 조어하였다. 재미있게도 베버는 카리스마라는 용어 때문에 1930년대와 1940년대, 그리고 1950년대에 원조-독재자proto-fascist로서 의심받았다. 왜냐하면 그의 카리스마 아이디어는 독일의 강력한 지도력과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예견하였기 때문이다. 어떤 면에서 베버의 카리스마 아이디어는 실제로 아돌프 히틀러를 예고했던 것이다. 물론 베버는 1920년대에 타계하였으므로 그럴 수는 없었다. 그러나 철학자 게오르크 루카치는 베버를 가리켜 비합리주의자irrationalist라고 칭하면서 베버야말로 나찌와 아돌프 히틀러의 이데올로기를 기초놓았던 원형-독재주의자proto-fascist라고 비난하였다. 아마도 베버가 그때까지 살아있었더라면 1930년대 혹은 1933년에 분명히 나찌즘을 찬양했을지도 모르겠다. 또 그와는 반대로 베버는 자신의 동생인 알프레드 베버처럼 파시스트나 나찌에 가담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희망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매우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사실 카리스마 개념은 아돌프 히틀러의 경우와 맥을 같이하지 않는다. 오늘 우리가 다루게 될 중심주제는 카리스마의 정의이다. 카리스마적 지배란 무엇인가. 카리스마의 근거는 어디에서 나오는가. 왜 베버는 원조-나찌주의자가 될 수 없는가.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누구를 말하는가. 카리스마는 변화의 힘으로서 혁명적 동력이 될 수 있는가. 우리는 이러한 베버의 강점이면서도 약점일 후 있는 이슈를 살펴볼 것이다. 한편 맑스는 베버보다 훨씬 더 일관적coherent이고 설득적인 역사 발전이론을 전개하였다. 맑스는 생산력과 생산관계의 모순대립을 설정하여 계급투쟁론을 전개하였다. 이 계급투쟁론은 역사적으로 무효화invalidated되었지만 매우 일관적이고 설득적인 주장이었다. 반면에 베버가 주장한 혁명적 힘revolutionary force으로서의 카리스마는 실제로 경험적 연관성empirical relevance을 갖고 있기는하지만 그다지 설득적이지는 못하다. 카리스마 이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카리스마적 지도력은 일반화되고 개념화될 수 있는가.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승계방법은 무엇인가. 카리스마적 지배는 어떤 식으로 사람들의 복종을 이끌어 내는가. 물론 사람들은 비인격적인 규칙에 대하여 복종할 수 있고 또는 인격적인 주인에 대하여 복종할 수도 있다. 지배의 핵심은 복종에 있다. 지배자가 규칙에 따라서 지배한다면 그것은 법-합리적 지배이다. 법의 지배는 현대 자유민주적 제도와 관료제를 포함한다. 사실 법의 지배로서 운용되는 형태로서 권위주의가 있다. 권위주의적 지도자는 실제로 법을 따르고 스스로 법을 진지하게 실행한다. 따라서 법-합리적 지배는 반드시 자유 민주주의만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 지배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법-합리적 지도자는 반드시 민주적일 필요는 없다. 잘알다시피 민주주의는 매우 최근의 현상이다. 서구세계의 보편적 참정권은 1920년대 이후에 널리 퍼져나갔고 2차 세계대전 이후에 정치의 지배적 형태가 되었다. 예를들어서 스위스의 여성 투표권은 매우 최근에 실시되었다. 따라서 자유 민주주의는 매우 최근의 신제품이다. 그러나 법-합리적 지배는 자유민주주의와 같은 신제품이 아니다. 영국은 과거 오렌지 혁명 때 법의 지배를 실시했다. 미국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에 법의 지배가 있었다. 물론 당시에는 오늘날과 같은 그런 자유 민주적인 형태는 아니었다. 당시에는 어떤 보편적 참정권도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에는 민주주의는 아니었지만 법의 지배가 가능했다. 그리고 그 법의 지배는 분명히 주인에게 복종하는 시스템과는 매우 구별되는 형태였다. 사람들이 주인master에게 복종하는 데는 두가지 길이 있다. 먼저 사람들은 전통적인 주인의 권력때문에 복종할 수 있다. 또 사람들은 주인의 카리스마적 특질 때문에 복종할 수도 있다. 우리는 이미 세가지 지배유형을 알고있다. 법-합리적 지배, 전통적 지배, 카리스마적 지배는 각각 상이한 존재론적 위상ontological status를 갖고있다. 역사의 두 거대한 흐름은 먼저 전통적 지배는 합리화rationalization과정을 통하여 결국 법-합리적 지배가 되었고 다음 카리스마적 지배는 보통 과도기 단계transitory stage에서 작용했다는것이다.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사람들의 엄청난 기대와 열망, 변화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서 등장하게된다. 그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사람들을 해방하는 한 여전히 지도자로 남게된다. 그러나 해방이 중단된다면 그 지도자의 카리스마는 박탈당하게 된다. 카리스마적 지배시스템이 계속해서 유지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자신의 카리스마를 후계자에게 이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2. 카리스마의 정의

카리스마란 무엇인가. 우리는 자주 카리스마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우리는 지난 18개월 동안 카리스마라는 용어를 매우 많이 사용했다. 왜냐하면 당시 대선 후보였고 지금은 대통령인 바락 오바마 때문에 그렇다. 아마도 이 가운데 어느 누구도 오바마의 카리스마에 관하여 토론하지 않았던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 오바마를 좋아하지 읺던 사람들조차도 그의 카리스마 부족을 언급하였다. 잘알다시피 카리스마라는 용어는 매우 자주 사용되고있다. 베버는 카리스마라는 용어를 다소 애매한 신학용어로부터 따왔다. 실제로 카리스마는 초인적인 기질을 가진 개인을 가리킬때 사용한다. 그들은 보통 반-신semi-god과 같은 존재들이다. 반-신들은 인격적으로 신들과 독점적 관계를 형성하면서 신들과 교제할 수 있었고 신의 의지God's will를 인간들에게 해석해줄 수 있었다. 따라서 반-신semi-god이 카리스마적 지도자였다. 고전적인 카리스마의 정의는 세계의 위대한 종교 창시자들에 해당한다. 원래의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모하메드, 예수, 모세를 가피킨다. 왜냐하면 그들은 신에 대한 특별한 접근법special access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모세는 신으로부터 두 돌판two tablets을 받았다. 모세는 신의 얼굴을 볼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으로부터 두 돌판을 받았다. 모세 이외의 다른 어느 누구도 산 정상으로 걸어 올라가서 신으로부터 돌판을 받고서 '이것이 바로 법이다.' 라고 선언하지 못했다. 그러나 모세는 그것을 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예수는 신과 매우 특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이 믿는 대상은 신 뿐만아니라 신의 육화embodiment of God인 신의 아들에게도 있다. 잘알겠지만 그리스도인들은 예수가 신의 의지를 각 사람에게 전달해줄 수 있다고 믿었다 .이것은 매우 특별하고 독특한 카리스마이다. 모하메드도 신에 대한 특별한 호소력를 지니고 있었다. 몰몬Molmon교의 스미스씨Mr.Smith는 신과 매우 특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어느날 천사가 내려와서 성경에 후속하는 신성한 책을 스미스씨에게 놓고갔다. 스미스씨는 그 책을 번역하였지만 그 번역이 사라져버렸다. 왜냐하면 천사가 내려와서 그것을 갖고 가버렸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바로 초인이 갖고있는 특별한 카리스마의 전형이다. 왜냐하면 이런 일은 다른 어느 인간에게도 일어나지 않았고 오직 스미스씨에게만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것이 본래의 카리스마 개념이다. 이제 베버는 카리스마의 개념을 다소 확장하였다. 베버에 따르면 카리스마는 특별한 기질의 인격적 개인에게도 해당한다고 하였다. 비범한 개인은 초자연적인 기질이나 초인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믿어졌다. 베버는 카리스마로서 "비범한 힘과 기질exeptional powers and qualities."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것들은 신성한 기원을 가지고있는 것으로서 믿어졌다. 위대한 종교의 창시자들은 이러한 카리스마를 지니고 있었다.이제 베버는 이것을 다소 수정modified하여 간단하게 모범화exemplary 하였다. 이제 반-신이거나 신의 육화적 존재를 믿을 필요는 없게 되었다. 카리즈마적 지도자는 비범한 힘과 기질을 지니고 있는 모범적exemplary 존재자이다. 카리스마적 개인이나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한정하는 기준은 비범한 힘과 자질이다. 포인트는 사람들은 카리스마적 개인person을 비범하면서 초인성을 지니고 있고 모범적 특질을 부여받았다고 믿는다는 것이다. 재미있게도 베버는 카리스마적 초인superhuman은 사실, 인간적으로 비범하지는 않다고 말하였다. 이 개인의 초인적 이미지는 관찰자들이 만들어낸 것이다. 말하자면 사람들이 자신들이 추종하는 지도자에게 카리스마적 기질을 부여한 것이다. 따라서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추종자들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3. 카리스마의 근거

카리스마의 근거는 무엇인가. 이제 더 엄밀하게 따져보면서 카리스마를 인식recognition 하자. 카리스마적 지도자와 그 추종자들 사이에는 상호-인격적inter-peresonal인 관계가 있다. 사실 카리스마는 이 지도자와 추종자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하여 창조된다. 카리스마는 주의 은혜grace of Lord를 통하여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카리스마는 피지배인들subjected to authority 에 의하여 창조되는 것이다. 또 추종자는 자신을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제자로 생각한다. 따라서 추종자는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위하여 각별히게 헌신extraordinary commitment한다. 이 추종자는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열정적으로 매료excitement되었기 때문에 마침내는 추종자 또는 제자공동체를 창조하기에 이른다. 바로 이 때문에 지난 18개월 동안 바락 오바마는 카리스마적인 지도자로서 신봉되었다. 바락 오바마는 군중들 앞에 등장해서 흥분과 감동으로 군중들을 매료시킬 수 있었다. 바락 오바마는 제자라고 할만한 추종자들을 창조했다. 그러나 이제 오바마의 카리스마는 철회withdraw될 위기에 처해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베버의 아이디어이다. 베버에 따르면 카리스마적 성공이 너무 오랜동안 그 지도자를 비춘다면 곧 카리스마적 지배는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곧 기적이 일어날 것이라고 사람들에게 약속한다. 그러나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기적을 연출하지 못하면 사람들은 자신들의 카리스마적 기대를 그 지도자부터 철회withdraw할 것이다. 그리고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자신의 카리스마적 호소력을 상실하고 평범한 개인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것이 베버의 포인트이다. 잘알다시피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기적을 약속하면서 필요한 대상을 필사적으로 완수하겠다고 다짐한다.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카리스마는 추종자들의 기대와 열망에 긴밀하게 구속되어있다. 보통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때 사람들은 이 어려움을 타계할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필사적으로 찾는다. 이때 카리스적 지도자는 자신의 비범한 기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한다. 지난 대통령 선거를 되돌아보자. 오바마 후보자가 선거에서 이길 수 있었던 이유도 그러한 경우였다. 기억하겠지만 지난 선거운동에서 특별했던 주요 선거구호는 희망, 변화, 할 수 있다hope, change,  yes, we can였다. 이것은 매우 전형적인 카리스마적 요소이다.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말하기를 "당신은 무언가 필요하다. 당신은 희망한다. 당신은 새롭고 독특한 직업을 원한다. 나는 당신들에게 그것을 약속하겠다. 나는 변화와 희망으로 당신들을 돕겠다. 나는 그 최적임자이다. 나는 해낼 수 있다. 우리는 할 수 있다. 예, 나는 희망과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나야말로 그것을 해낼 수 있다." 라고 한다. 이것이 전형적인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발언이다. 최근의 역사를 보더라도 카리스마적 지도자들은 오바마 못지않게 똑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피델 카스트로는 카리스마적 지배자이다. 쿠바사회는 1960년대 필사적으로 변화를 갈구하였다. 피델 카스트로는 사람들에게 변화를 가져오겠다고 호소하였다. 카스트로는 부패한 정부를 멸하고 평등을 창조하겠다면서 사람들에게[ 호소하였다. 또 가난한 자들을 부유하게 만들고 풍요로움을 가져다주겠다고 호소하였다. 피델 카스트로는 정의로운 복지사회를 건설하겠다고 약속하였다. 마침내쿠바인들은 자신들의 카리스마를 카스트로에게 부여하였다. 아돌프 히틀러도 카리스마적 지도자였다. 잘알다시피 독일은 1차 대전에서 모욕적인 패배를 당하였고 이어서 대공황을 겪게되자 상황은 미국보다 훨씬 더 나빴다. 이때 히틀러는 오바마 못지않게  이 난국을 타계할 수 있다고 사람들에게 호소하였다. 히틀러는 독일인들에게 말하기를 " 이 모든 문제는 모두 유대인 음모이다. 우리는 유대인들을 제거하고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으면 안된다. 때문에 우리는 새로운 제국이 필요하다." 라고 호소하였다. 히틀러는 이 문제를 다룰만한 능력이 있었다. 당시 독일인들은 강력한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갈구하고 있었다. 독일인들은 자신들의 카리스마를 히틀러에게 부여하였다. 히틀러는 독일안들을 위하여 난국을 타계할 수 있었는가. 히틀러는 러시아 군대가 베를린으로 쳐들어자 확실히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더 이상 아니었다. 히틀러는 벙커에 몸을 숨기고 자살을 고민하고 있었다. 히틀러의 카리스마는 모두 사라졌다. 결국 히틀러는 독일인들을 구원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기적을 연출하지도 못했다. 따라서 히틀러의 카리스마는 철회withdraw된 것이다.

4. 추종자들

베버에 따르면 추종자들은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중심으로 감정적 결합emotional tie을 통하여 감정 공동체를 창조한다고 하였다. 추종자들은 실제로 공동체(페어게마인샤프퉁Vergemeinschaftung)를 형성한다. 그 공동체에는 진정한 카리스마적 종교지도자가 존재한다. 그 지도자는 항상 인간 공동체를 창조하는 기질을 지니고 있다. 당신들은 근본적인 종교경험을 해본 적이 있는가. 나는 개인적으로 십 대때 종교 경험을 했다. 그당시 나는 지극히 평범하게 보였던 한 설교자를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 설교자는 대단한 카리스마적 호소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때 나는 정말로 큰 충격을 받았다. 나는 나의 카리스마를 그 설교자에게 부여하게 되고말았다. 곧 그 설교자는 자신의 주위에 공동체community를 창조하였다. 우리는 공동제에서 그 카리스마적 설교자를 신봉하면서 함께 형제와 자매가 되었다. 사실 이 공동체는 근본적으로 이단sectarian적 종교집단으로서 그리스도인, 무슬림, 복음주의에 매우 흔한 것이다. 당신들은 이러한 경험을 했을지도 모르겠다. 십 대 청소년들은 가족을 벗어나서 새로운 공동체를 찾고자 한다. 이러한 종교 공동체는 기존 종교의 대안으로서 기능한다. 당신들 중 몇몇은 분명 그러한 공동체에 몸담고 있다. 매우 바람직한 종교공동제들이 분명 존재한다. 나는 공동체Vergemeinschaftung에서 놀라운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나는 공동체 안에서 가족과 버금가는 정신적 가족을 이루게 되었다. 이것은 상식적인 일인가. 당신들도 한번 공동체 경험을 해보면 알게 될 것이다. 베버에 따르면 공동체(vergemeinschaftung페어게마인샤프퉁)는 게마인샤프트Gemeinschaf가 대중사회관계mass society relationship 속에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카리스마적 정치운동은 사람들을 상식적인 공통원인common causes으로 결합시키면서 공동체를 창조한다. 예를들어 시민권운동Civil Rights Movement은 공동쳬Vergemeinschaftung를 창조한다.  마틴 루터 킹이나 바비 케네디Bobby Kennedy는 시민권 운동을 이끌었던 카리스마적 지도자였다. 그들은 공동으로 모여서 지독한 남부 인종주의자들에 대항하여 시민권 운동을 하였다. 이것은 변화를 바라는 사람들사이에서 공동체감sense of community을 창조하였다. 실제로 그러한 공동체에 속해 있는 사람들은 지도자에 대하여 인격적으로 헌신한다. 왜나하면 그들은 지도자의 열정에 매료되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절망적인 상황에서 필사적으로 자신들을 구원할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찾게 된다. 이것이 바로 레닌과 마오쩌둥, 카스트로가 공산주의 사회에서 등장하게 되었던 이유이다. 당시 그 공동체 사회들은 치욕humiliation적인 전쟁으로 인하여 깊은 수렁에 빠졌다. 이때 사람들은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들을 파라다이스로 인도할 구세주saviour를 찾아야했다. 재미있게도 카리스마적 공동체는 관료공동체와 다르게 상대적으로 미미한 위계질서relatively little hierachy가 존재한다. 실제로 카리스마적 지도자 뿐만아니라 그 추종자들도 일정한 보수나 혜택에 동기화되어있지 않다. 보통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대규모 자원봉사자volunteer를 활용한다. 그 자원봉사자들은 자발적으로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위하여 시간과 자금을 제공한다.

5. 카리스마의 비합리성, 카리스마의 혁명적 힘

재미있게도 베버는 말하기를 "카리스마는 비범한 능력이다. 따라서 카리스마적 지배시스템은 합리적이고 관료적인 시스템과는 정반대이다."라고 하였다. 따라서 카리스마적 지배는 비합리적이고 인류역사상 존재했던 지배rules 시스템과  비교할때 매우 희귀한 시스템이다. 왜냐하면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속성 때문에 그러하다.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속성이란  변화를 이끄는 능력을 말한다. 변화란 새로운 게임의 룰rules of game이 등장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 사람들은 이 게임의 룰이 정확히 무엇인지 잘 모른다. 때문에  카리스마적 지배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이 예상된다. 잠시 미국의 정치를 살펴보자. 미국은 명백히 법-합리적 시스템에 따라 운용된다. 이것이 미국의 특질이다. 미국의 정치인들은 종종 일정한 변화를 약속하면서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그 정치인의 사회구제 능력과는 상관없이 그 정치인에게 카리스마를 부여할 수 있다. 미국은 루즈벨트, JFK, 마틴 루터 킹, 오바마에 이르기까지 여러 카리스마적 정치인들이 있어왔다. 그러나 미국의 제도system 자체는 카리스마적이 아니었다. 카리스마는 미국의 지도자를 뽑는데 도움을 주었고 또 초창기에 지도자를 도와서 강력한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 성공하였다. 보통 오바마 대통령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오바마가 신속하게 움직이지 않고 강압적이라거나 대통령직 초반에 그의 카리스마가 성공적이지 못했다고 비난한다. 사실 오바마의 카리스마적 호소력이 약화되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오바마에 대한 배신감을 토로하기도 한다. 그 사람들은 정치적 변화를 약속받았지만 실제로 달라진 것이 없다고 불평한다. 따라서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법-합리적 지배에서 작동한다면 불가피한 문제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법-합리적 지배에서 변화를 가져오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만약 규칙과 법을 바꾸고자 한다면 의회를 통하여 그렇게 하여야한다. 당신은 단지 지금 새로운 게임 룰rules of game이 세워졌다고 선포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정치와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레닌이나 마오쩌둥의 정치는 매우 다른 것이다. 레닌과 마오쩌둥은 절차적인 법-합리성을 외면하고 자의적으로 게임의 룰을 바꾸었다. 특히 마오쩌둥은 매우 재미있는 기질character의 소유자였다. 마오쩌둥은 중국대륙에서 처음으로 관료지배제를 세우고나서 문화혁명Cultural Revolution을 시작하였다. 충격적이게도 마오쩌둥은 이어서 반-관료적 운동을 시작하였다. 따라서 그 관료제의 최고지도자는 가장 반-관료제적인 자가 되었다. 마오쩌둥은 정말이지 불가사의하면서 비범했다. 잘알다시피 마오는 그것을 성공적으로 해내었다. 그것은 1960년대까지 약화된 그의 카리스마를 벌충하고도 남았다. 마오는 맨 처음 중국인들에게 "대 도약 약진great leap forward"을 약속했다. 마오는 곧 중국은 미국을 따라잡고 미국처럼 풍요롭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대 약진의 결과는 무엇이었나. 그것은 대재난이었다. 중국사람들은 굶어죽어갔다. 따라서 마오는 기적을 연출해내지 못했다.  그 다음에 마오는 무엇을 했는가. 마오는 게임의 룰을 바꾸겠다고 약속했다. 마오는 곧 문화혁명을 시작하였고 실제로 자신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지도자가 되었다. 마오는 그런 식으로 기적을 연출했던 것이다. 마오쩌둥이 나이가 들어서 마지막으로 연출하고자 시도했던 기적은 양쯔강에서 헤엄치는 것이었다. 마오쩌둥은 말하기를 "당신들은 내가 늙고 죽어가고있다고 생각하는가. 그렇지 않다. 나는 초인이고 여전히 수영할 수 있다." 라고 하면서 자신의 카리스마적 호소력을 복구rescue하고자 시도했던 것이다. 그때 중국인들은 자신들의 카리스마를 마오쩌둥에 투사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세워서 카리스마적 지배 시스템을 세운 후에 게임의 룰을 바꿀 수 있다. 잘알다시피 중국의 역사는 매 5년마다 모든 것이 완전히 달라졌다. 처음 백화Hundred flowers시대가 열렸다. 모든 중국인들은 자유로웠다. 그 다음은 대 도약 약진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나서 문화혁명이 출발하었다. 마오는 게임의 룰을 항상 바꾸고 있었다. 이것은 분명예측 불가능한 환경속에서 이루어졌다. 예측 불가능한 환경속에서 경제는 잘 작동할 수 있는가. 아니다. 그럴 수 없다. 나찌와 스탈린주의자들도 똑같은 경우이다. 당시 예측불가능한 환경은 경제사업을 위해서 좋지 못했다. 사업business은 예측가능한 환경을 원한다. 또 사업은 법의 지배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자본주의와 경제사업은 법-합리적 지배를 선호한다. 자본주의는 반드시 민주적인 시스템을 선호할 필요가 없다. 자본주의는 권위주의적 특성들과도 멋지게 공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자본주의자들은 칠레의 피노체트를 선호하였다. 피노체트는 상당한 법-합리적 지배자였기 때문이다. 물론 처음에 피노체트는 칠레인들을 미친듯이 학살했었다. 그리고나서 피노체트는 자본주의자들이 상당히 좋아할 정도로 예측 가능한 시스템을 창조하였다. 당시 칠레 경제는 밀턴 프리드만의 조언을 받으면서 한동안 성장을 계속하였다. 따라서 자본주의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예측가능한 환경이다. 잘알다시피 민주주의는 여러 면에서 예측가능한 환경을 위해서 그렇게 좋은 시스템은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매 4년 마다 투표를 하고 새 지도자를 뽑는다. 그 새 지도자는 이전과 구별되는 새 아이디어를 실행하게 된다. 이것은 다소 혼잡스럽다. 따라서 진정한 자유시장경제는 권위주위적 지도자와 더불어 정치적으로 안정된 법의 지배를 선호하지 않을 수 없다. 사실 자본주의자는 지배시스템의 대 변화를 바라지 않는다.

+ 카리스마의 혁명적 힘revolutionary force
이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재미있게도 베버는 카리스마는 전통적 사회에서 혁명적 힘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사실 현대사회의 법-합리적 지배에서 변화를 이끄는 동력은 적어도 카리스마는 아니다. 법-합리적 지배에서 변화를 이끄는 것은 기술혁신technical innovation과 매 4년 마다 실시되는 일상적이고 지루한 선거이다. 대 변화는 전통적 지배에서 다른 유형의 지배로 이동할 때 일어난다. 이 전통적 지배는 다름아닌 가치시스템의 변화를 통하여 다른 전통적 지배유형으로 변화한다. 이때 가치시스템의 변화는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담당하는 것이다. 재미있게도 베버는 관료제화bureaucratic rationalization는 주요한 혁명적 힘이라고 말하였다. 알다시피 현대사회의 관료시스템은 실제로 밖without에서 들어온 혁명이다. 왜냐하면 관료제는 기술적 변화로 인하여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재미있게도 우리는 혁명을 경험하고있는 중이다. 나는 1976년 처음으로 인터넷과 이메일을 접하게 되었다. 잘알겠지만 나는 이메일에 빠져산다. 나에게 이메일을 보내면 당신은 몇 분 안에 답장을 받게된다.  나는 미친듯이 이메일을 체크하기 때문이다. 이 이메일은 새로운 기술이다. 이 기술은 밖에서 들어오고있다. 반면에 카리스마는 안에서부터 나오는 직관적인 혁명이다. 카리스마의 임무는 가치시스템value system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카리스마적 자도자는 사람들을 설득하여 새로운 가치시스템을 성취한다. 따라서 카리스마는 전통적 사회에서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다.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법-합리적 지배에서도 사람들의 가치시스템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미국에서 벌어졌던 10년간의 시민권운동Civil Rights Movement은 미국인들의 가치시스템을 변화시켰다. 그 시민권운동이 없었더라면  인종race차별과 성gender차별에 대한 우리의 자세는 앞으로 100년간 불변할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러나 우리는 10년의 짧은 기간을 통하여 인종과 성문제에 대하여 완전히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치 시스템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카리스마적 지도자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마틴 루터 킹을 보라. 마틴 루터 킹은 새로운 사회적 가치시스템을 꿈꾸었다. 당신들은 너무 어려서 인종차별과 성차벌을 경험하지 못했을 것이다. 당신의 부모와 조부모에게 한 번 물어보라. 미국인들은 다른 인종에 대한 편견과 세계관이 많이 바뀌었을 뿐만아니라 여성들에 대한 태도도 갑작스럽게 바뀌었다. 이러한 가치의 변화는 안으로within부터의 혁명이었다. 이것이 카리스마적 혁명이다..

6. 카리스마의 일상화 문제와 승계방법problem of routinization, method of succession

카리스마적 변화는 일상routine과는 완전히 역행하는 것이다. 카리스마적으로 행한다는 것은 일상적으로 익숙한 것을 하는 것이 아니다. 카리스마적 지배는 분명 전통적 지배와 구별되는 것이다. 한편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사망하거나 사라진다면 어떻게 되는가.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어떤 식으로 대체되는가.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승계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먼저,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검색search 될 수 있고, 계시에 의할 수 있고, 원 지도자에 의하여 지명될 수 있고, 참모들에 의하여 지명될 수 있고, 또 유전적hereditary 계보에 따라서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세워질 수도 있다. 또 직위 카리스마office charisma의 경우는 직위 자체office itself가 카리스마적 일 수 있다.

+ 검색search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검색을 통하여 세워질 수 있다. 가장 좋은 예는 달라이 라마이다. 달라이 라마는 검색을 통하여 카리스마적 지도자의 반열에 오른다. 달라이 라마Dalai Lamar가 타계하면 그는 곧 환생reincarnated 한다. 따라서 사람을 보내어 환생한 갓난아기 달라이 라마를 탐문하게 된다. 환생한 달라이 라마는 유일한 어린아기이다. 전문가는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이 아기를 발견하게 된다. 이 어린아기는 새 달라이 라마로서 성장하게 되고 대단한 역량의 카리스마를 발휘하게된다. 잘 알겠지만 달라이 라마의 카리스마는 대단하다. 당신이 환생을 믿든지 안 믿든지 그것은 또다른 문제이다. 아마도 당신들 대부분은 환생을 믿지 않을 것이다. 왜 달라이 라마는 놀라운 카리스마를 갖는가. 사람들은 달라이 라마를 보고서 열광wild한다. 내가 대만에서 가르쳤던 한 학생은 스스로 불교도로 개종하고 열광적인 달라이 라마 추종자가 되었다. 그는 UCLA에서 박사학위을 땄지만 달라이 라마가 어디를 가든지 항상 따라다니고 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의 카리스마를 달라이 라마에게 부여attributed했기 때문이다. 어쨌든 달라이 라마는 검색을 통해서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세워진다.

+ 계시revelation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계시를 통하여 세워질 수 있다. 실제로 신성한 권위자는 특정인을 다음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계시하고 선포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계시는 꼭 그렇게 작용하지는 않는다. 신문newspapers을 보라. 신문은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창조한다. 사람들은 신문을 보고 특정인에 카리스마를 부여한다. 그 특정인은 사람들의 카리스마를 이용하여 카리스마적 지배 시스템을 세운다.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대중매체media를 탄생한 것이다. 사람들의 카리스마가 록스타에게 부여되면 그 록스타는 대중매체를 통하여 창조된 카리스마를 갖게 된다. 재미있게도 대중매체는 신탁oracle을 계시한다. 신문사들은 누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이고 누구의 콘서트 행사장이 진짜로 값나가는 것인지를 잘 알고 있다.

+ 원 지도자에 의한 지명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죽기 전에 다음 승계자를 찾아내야한다. 이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왜냐하면 그 지도자는 다음 승계자를 지명하고 난 후에 독살되거나 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인수인계를 원하는 새 지도자를 살해하는 경우도 있어왔다. 이것은 인류의 오래된 역사이다. 재미있게도 스탈린은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의 유언testimony을 위조하면서 자신의 카리스마를 세우고자 하였다. 그 유언장에 따르면 '레닌은 스탈린을 다음 승계자로서 지명했다' 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모두 거짓이었다. 레닌은 실제로 스탈린을 대단히 싫어했고 승계자로서 지명하는 것도 꺼려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그 유언장을 위조하면서 바로 자신이 레닌의 카리스마를 상속했다고 말하였다. 실제로 스탈린은 자신의 카리스마를 세우는데 대단한 어려움을 겪었다. 스탈린은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고서야 가까스로 소비에트 연방과 서방세계로부터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등장할 수 있었다. 사실 스탈린의 소비에트 연방이 독일을 격퇴하자 모스크바와 스탈린그라드에서 뿐만아니라 미국에서도 스탈린을 위대한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보기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나 스탈린은 붉은 군대Red army의 성공적 임무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

+ 자격있는 참모staff에 의한 지명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자격있는 참모에 의하여 지명될 수 있다. 가장 좋은 예는 교황이다. 교황Pope은 자격있는 참모들에 의하여 선출되고 난 후 카리스마적 지배를 행사하게 된다. 잘 알다시피 교황은 평범한 로만 캐돌릭교도들이 가질 수 없는 신에 대한 특별한 접근법access to God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교황의 카리스마는 다음 승계자로 이전되는 것이다. 교황의 기질character은 제 각각이다. 교황이 매력적이고 설득적이라면 그 교황은 더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인정받게된다. 교황이 관료적이더라도 그 교황 또한 카리스마적 지도자로서 인정받는다. 교황을 세우기 위한 참모로서 대주교archbishops의 모임이 있다. 대주교들은 교황이 타계하면 모두 로마에 모여서 합의consensus한다. 대주교들은 누가 신과 특별한 관계를 맺으면서 카리스마를 행사할지에 관하여 전원이 동의할 때까지 방에서 나오지 못한다.

+ 유전적 카리스마hereditary charisma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유전에 의하여 세워질 수 있다. 카리스마가 자식에게 전해지기는 매우 힘들다. 그러나 북한은 그렇게 하고있다. 김일성은 자신의 카리스마를 아들 김정일에게 전달했다. 잘알다시피 북한에서 김정일은 카리스마적 호소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유전적인 카리스마적 지도자는 완전히 불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러나 카리스마적 지도자가 이런 식으로 카리스마를 전한다면 이것은 좋지않은 아이디어이겠다.

+ 직위 카리스마office charisma
직위 카리스마는 매우 중요하다. 현직위incumbents of an office는 어느 정도 일정한 카리스마를 내포하고 있다. 알다시피 교황직은 카리스마를 내포하고있다. 실제로 우리는 직위 카리스마를 매우 자주 사용한다. 미국에서는 이 직위 카리스마를 지도력leadership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권력자가 비전을 갖고 지도력을 발휘해 주기를 기대한다. 이것은 일종의 직위에 따른 카리스마이다. 잘 알다시피 나는 여러 차례 학과장이었다. 사실 학과장department chair의 위치에 오른 일과 거기서 내려온 일은 매우 재미있었다. 특히 동료관계에 있어서 대단한 변화가 따라왔다. 학과장 직위는 동료들의 카리스마가 부여된 자리이다. 학과장은 지도력을 발휘하여 동료들의 믿음위에서 어떤 변화를 가져오기로 되어있다. 처음에 한 동료는 나에게 말하기를 "당신은 신선한 공기처럼 그 자리에 들어왔다." 고 하였다. 그러나 2년 후에 그것은 모두 사라졌고 나는 더 이상 신선한 공기가 아니었다. 나는 일상적이 되어버렸다. 잘 알다시피 나는 관료제 사회 안에서 활동하면서 최대한 관료제를 마사지하였으므로 나의 카리스마는 모두 사라져버린 것이었다. 어쨌든 자신들의 기대를 현직incumbents of the office에 거는 것은 매우 미국적인 것이겠다. 직위 카리스마는 결국 신선한 공기를 불러일으키면서 비전을 통하여 이전보다 훨씬 나은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것이 직위 카리스마이다. 고맙습니다.






<참고문헌>

원문번역, 동영상
Szelenyi, Ivan. Foundations of Modern Social Thought, Open Yale Courses, 2009.





댓글 없음:

댓글 쓰기